게임 BM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:)
BM 구조는 서비스의 수익 창출 방법과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계하는 과정입니다.
중요요소는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.
- 고객 세그먼트
- 가치 제안
- 수익 모델
- 비용 구조 등
- BM 구조의 핵심 요소
- 보통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(Business Model Canvas)와 같은 프레임 워크를 사용- 가치 제안 (Value Propsition)
- 제품이나 서비스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나 해결하는 문제를 정의하는 요소
- 게임의 경우, 플레이어의 재미, 사용자 경험, 사회적 상호작용, 성취감, 수집 욕구 등이 포함 - 고객 세그먼트 (Customer Segments)
-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할 것인지 정의하는 단계
- 플레이어의 성향에 따라
1. 하드코어 유저
2. 라이트 유저
3. 결제 유저
4. 무료 유저 - 수익 모델(Revenu Streams)
- 비즈니스가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정의- 인앱 결제(IAP)
- 광고
- 구독 모델
- 프리미엄 모델
- 채널
- 고객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법, 게임 배포와 커뮤니케이션 담당
1. 앱 스토어/플랫폼
2. Google Pay, Apple AppStore, Steam 등
3. 소셜 미디어
4. 인스타, 카페, 유튜브 등 - 고객 관계
- 고객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방법을 의미, 고객 경험의 향상과 커뮤니티 활성화에 중점- 커뮤니티 관리
- 이벤트 및 업데이트
- 주요 활동
- 비즈니스 모델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활동들을 의미
1. 새로운 기능 및 콘텐츠 업데이트, 버그 수정
2. 게임 개발 및 운영
3. 마케팅 및 광고 캠페인
4. 유저 유입을 위한 마케팅 캠페인과 광고 전략 수립 - 주요 자원
- 비즈니스 모델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들을 의미, 인력, 기술, 지적 재산(IP)등이 포함 - 주요 파트너
- 비즈니스 수행을 도와줄 파트너나 협력사를 의미- 게임 퍼블리셔
- 광고 네트워크
- 콘텐츠 제공자
- 비용 구조
-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데 필요한 비용 관리요소- 개발 비용
- 마케팀 비용
- 서버 및 유지보수 비용
- 가치 제안 (Value Propsition)
- 게임 BM 구조 설계의 프로세스
- 타겟 유저 분석 및 가치 제안 도출
- 어떤 유저에게 게임이 가치를 제공할 것인지 파악, 어떤 재미나 만족감을 느낄지 정의 - 수익화 모델 선택
- 게임의 장르와 유저 상향에 따라 수익화 전략을 수립 - 수익 창출 경로 및 마케팅 채널 선정
- 게임의 유저 유입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마케팅 배포 채널을 선정 , 전략을 새운다. - 운영 전략 및 비용 구조 설계
- 게임의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유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운영 전략을 수립, 이에 따른 비용 구조 설계
- 타겟 유저 분석 및 가치 제안 도출
- BM 구조 설계의 사례
- 프리투플레이(F2P) 모델 + 인앱 결재 모델
- 게임을 무료로 제공하고, 게임 내 아이템, 캐릭터, 스킨, 편의 기능 등을 유료로 판매
- 대상 : 특정 유료 기능을 사용하려는 유저
- 수익원 : 인앱 결제(아이템, 뽑기, 추가 콘텐츠)
- 장점 : 유저 유입이 쉽고, 다양한 유료 상품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
- 단점 : 무료 유저가 많아 전환율이 낮을 경우 수익 창출이 어려울 수 있음
- 모바일 RPG, 소셜, 캐주얼
- 광고 기반 모델 (Advertising_Based Model)
- 광고 수익을 주요 수익원으로 삼는 모델, 무료 콘테츠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
- 대상 : 무료 유저나 컨텐츠 소비자
- 수익원 : 배너 광고, 리워드 광고, 인터스티셜 광고(게임 중간광고)
- 장점 : 유저 유입이 쉽다
- 단점 : 광고가 과도할 경우 사용자가 불쾌해 한다
- 무료 캐주얼, 퍼즐, 모바일 게임
- 프리미엄 모델
- 게임을 유료로 판매하는 방식, 일회성 결제를 통해 전체 게임을 이용, 초기 구매로 모든 콘텐츠를 즐김
- 대상 : 유료 콘텐츠에 가치를 두고 초기 구매를 통해 게임을 즐기는 유져
- 수익원 : 게임 자체 판매
- 장점 : 한 번의 결제로 수익을 확보할 수 있으며, 추가 결제가 없어 유저 경험이 더 좋음
- 콘솔, PC, 인디 게임 등
- 구독 모델 (Subscription Model)
- 사용자가 정기적인 요금을 지불하고 콘텐츠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, 타 모델에 비해 안정적
- 대상 : 꾸준히 콘텐츠를 소비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
- 수익원 : 월간 또는 연간 구독료
- 장점 : 지속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익 창출 가능
- 단점 : 경쟁 서비스나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으면 구독자 이탈 가능성 생김
- 프리미엄 + 구독 혼합 모델
- 무료로 시작할 수 있지만, 고급 기능이나 독점 콘텐츠를 구독을 통해 이용하는 모델
- 기본적인 플레이는 무료로 제공하나 추가 콘텐츠나 편의 기능을 구독 방식으로 제공
- 대상 : 게임을 무료로 즐기면서 추가 콘텐츠나 고급 기능에 가치를 두는 유저
- 수익원 : 구독료, 인앱 결제
- 장점 : 무료 유저에게 접근성을 제공하면서 구독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음
- 단점 : 구독 기능이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으면 전환율이 낮을 수 있음
- 구독형 모바일, 일부 온라인 RPG
- 리워드 기반 모델 (Reward_Based Model)
- 사용자가 특정 행동을 하면 보상을 제공하는 방식, 게임 내 광고 시청이나 친구를 초대하면 리워드 지급
- 대상 : 보상을 통해 게임을 더 즐기고 싶어하는 무료 유저
- 수익원 : 광고 시청 후 보상 제공, 친구 초대 프로그램
- 장점 : 유저의 참여도를 높이고, 광고 수익을 늘릴 수 있음
- 단점 : 리워드 설계가 적절하지 않으면 보상만을 노리는 유저가 생길 수 있다.
- 리워드 포함 게임, 친구 초대 보상
- 갸차 모델
- 게임 내 뽑기 시스템을 통해 캐릭터, 아이템, 스킨 등을 얻는 방식
- 대상 : 아이템이나 캐릭터 수집에 흥미를 느끼는 유저
- 수익원 : 랜덤박스 또는 캐릭터 뽑기 비용
- 장점 : 수집 욕구를 자극해 높은 결제율을 이끌어 낼 수 있음
- 단점 : 지나친 랜덤 요소로 인해 유저 불만을 초래할 수 있으며 규제 대상이 될 수 있다.
- 수집형 모바일 RPG, 가챠 시스템이 있는 게임
- 플랫폼 모델
- 플랫폼을 통해 게임을 서비스 하고, 다른 개발자나 게임 퍼블리셔와의 협력을 통해 수익을 창출, 주로 게임 유통 플랫폼에서 사용
- 대상 : 게임 개발자와 유저 양쪽 모두를 대상
- 수익원 : 게임 판매 수수료, 구독료, 광고 수익
- 장점 : 다양한 게임을 유통할 수 있고,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수익을 극대화
- 단점 : 초기 플랫폼 구축 비용이 높고, 경쟁플랫폼이 있다면 유저를 유지하기 어려움
- 프리투플레이(F2P) 모델 + 인앱 결재 모델
기본적인 게임 BM 모델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:)
반응형
'지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MOPRG 게임 지표 (0) | 2024.10.07 |
---|---|
모바일 게임 지표 (2) | 2024.10.07 |
게임지표-(카지노) (15) | 2024.10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