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ableau 에서 union을 수행하는 세 가지 방법
기본적으로 union을 할때는백지에서 시작
첫 번째 파일을 가져오는 것 부터 시작
기존 파일에 다른 파일을 가져다 대면 유니온을 할 수 있게 된다.
오른쪽의 파일을 넣어준다.
2번째 방법이 좋은 이유는 어떤 파일을 넣었는지 볼 수 있기 때문이다.
이후 꼭 퀄리티 체크를 해줘야 한다.
새유니온 그래드 앤 드랍.
와일드 카드
*로 입력하고 *는 모든 것을 표현, 즉 아무거나 와도 된다.
파일칸에 적은 이름을 포함하는 모든 테이블을 유니온 시킨다.
Join
Tableau 에서 join을 하고 싶을 때마다 가지고 온 첫 번째 것을 열어야 한다.
열기를 클릭하면 조인 테이블이 나온다.
드래그 앤 드랍으로.
SQL하고 똑같이 생각하면 될 것 같다.
데이터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.
중복시 조인
조인은 모든 플랫폼에 걸쳐 보통
두 데이터 셋이 있고 조인트와 중복을 수행한다면 모든 행과 다른 행을 맞추려 할 것,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매칭.
조인을 쓰면 안되는 조건
데이터 세트를 접촉, 의도치 않게 많은 행을 만들 수 있다.
아래와 같이 수가 늘어나지 않고 유니온 하는 방법은? (실수로 중복되지 않게 하는 법)
이때 Relationship을 사용
그냥 드래그 앤 드랍하면 관계가 형성된다.
Tableau에서 기본값이 관계인 이유는 Union 보다 안전하다.
관계는 설정 시 두개를 별개로 새로운 테이블을 만든다.
데이터 세트를 온전하게 유지하면서 crm 접촉 로그에 연결할 수 있다.
두 개의 별게의 데이터로 집계를 시작 합성이 되면 조인을 하고
관계를 촉발시키는 역할, 즉 시각화 기반
이론보다는 많이 경험하면서 체득하는게 좋다.
다른 DB에서 자료를 가져오는 것은 비용이 많이들기에 신중해야한다.
데이터 모델링시 중요한것은 이해관계자를 만족 시키는 것
데이터 모델은 사용자 친화적이어야 한다. 한번에 구축하지말고 한개씩 하는 것을 추천
자세한 내용은 Tableau 공식 사이트를 참조하면 도움이 됩니다.
관계가 조인과 다른 점
관계는 분석을 위해 여러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결합하는 동적이고 유연한 방법입니다
help.tableau.com
'Tablea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xpert - Set (2) | 2024.09.06 |
---|---|
Expert - Parameters (0) | 2024.09.06 |
Intermediate_Maps (0) | 2024.08.09 |
Intermediate_Filtering (0) | 2024.08.07 |
Intermediate-Quick Table (1) | 2024.08.05 |